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단어 (Vocabulary) (b)

blast n. 폭발 boron n. 붕소 (B)

단어 (Vocabulary) (d)

demonstrator n. 시범하는 사람[것] denominator n. <數> 분모  diploma n. 졸업장  dislocation n. <金> 전위(轉位) ditch v. <俗> (비행기가 바다에) 불시착하다.

단어 (Vocabulary) (m)

manoeuvre [英], maneuver [美] n. (기술적인) 동작 mio.=million

단어 (Vocabulary) (h)

holistic a. <俗> 전체론의  homog eneize [ h ə m ɑ́ d Ʒə nàiz]  t. 균질화하다. hydrodynamic a. 수력학(水力学)의

단어 (Vocabulary) (i)

impingement n. 침범 inc.=incorporated n. 주식회사 in-line a. constituting an integral part of a continuous sequence of operations or machines (일련의 연속작업이나 기계의 필수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intern n. 수련사원 ˌ i nter ˈ vene i. (상황개선을 위해) 개입하다.

단어 (Vocabulary) (l)

lax [l æx ] a. (일ㆍ규칙ㆍ기준 등에 대해) 느슨한  Linköping n. 스웨덴 남동부의 도시

단어 (Vocabulary) (n)

Nd n. <化> 네오디늄, neodymium [ │ niːoʊ │ dɪmiəm ] nomenclatur e [ nəˈmenklətʃə(r)] n. <格> (학술적) 명명법  Nordic a. 북유럽국가의 n. Nr.=Number nucleus [ │ nuːkliəs]  n. <物> (원자)핵 nuclei [ njú : kliài ] pl. < nucleation n. 핵형성

First Names (名)

Åke [ ˈ o ukei] <男> (Swedish) 조상 Anirban <男> (India) Arthur [ ˈ ɑ́ : r θə r ] <男> Nielen [ni:l ə n] <男ㆍ女> (English, Dutch) Ogden <男>

단어 (Vocabulary) (p)

possibly ad. 아마 post- prf. ~後 Prague [ prɑ́:ɡ ] n. 프라하(체코의 수도) precursor n. 예고  progression n. (점진적인) 진행 proprietary [prə | praɪəteri] a. 소유주의 proxy n.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

단어 (Vocabulary) (a)

aeronautics n. 항공학 ampersand n. & annex [əˈneks] t. 부가하다. n. 부속서 Aramis n. Zeiss사의 광학 3D 측정 시스템 archive v. 기록 보관소에 보관하다. Ashkenazi [ˌ æ ʃ k əˈ n ɑː zi ] n. 東部ㆍ中部 유럽 유대인 후손 austenitization [ ˌ ɔ:stən ətə ˈ zeɪʃn ] n. <金> 오스테나이즈化 : 철 또는 강과 같은 철 기반 금속을 결정구조가 페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로 변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

단어 (Vocabulary) (q)

 quadrature n. <數> 구적법(求積法) : 정적분을 근사하여 구하는 방법

단어 (Vocabulary) (f)

factorial n. <數>계승 fancy t. (성적으로)끌리다. fantastically ad. 환상적으로 fascinate t. 매혹하다. feminine a. (단어가)여성을 가리키는 fetch t. <컴>명령을 꺼내다. fictitious  [fɪkˈtɪʃəs] a. 허구의 flexibility n. 유연성 flexural [flékʃərəl] a. 굴곡의 <flexure n. flimsy a. 믿기지 않는 : a flimsy explanation 빈약한 설명 follow-up a. 후속조치 fond a. (특히 오랫동안)좋아하는 footage n. (특정 사건을 담은)화면 formula n. <數>공식 >formulae [-li:] pl. 4-eyes principle n. A control mechanism that requires two independent people to be involved in a decision or process before it can proceed. fraction n. <數>분수 >fractional a. 아주적은 framework n. 골조, 체계 Frech et [freʃe] n . 프 랑스의 수학자(1878-1973) free t. 풀어주다. front vowel n. 전설모음(前舌母音) fulfill t. (의무·약속·직무 등을)다하다.

단어 (Vocabulary) (g)

garnet n. 석류석 gene n. 유전자 >genetic a. generation n. 세대 genitive n. <文>소유격 given name n. 성(姓)에 대하여 이름, [美] first name glitch n. <俗>작은 결함 glitter i. 반짝반짝 빛나다. gloss t. if you gloss a difficult word or idea, you provide an explanation of it. gom n. 현재는 Zeiss사의 일부로 소프트웨어 포함, 3D 측정 및 시험기술을 개발하는 독일 회사. gotcha int. to represent the words 'got you' when they are pronounced informally. granted ad. You use granted at the beginning of clause to say that something is true, before you make a comment on it : Granted, he doesn't look too bad for his age, but I don't fancy him. (사실 그는 나이에 비해 괜찮아 보이지만 나는 끌리지 않는다.) grin n. (소리 없이)크게 웃음

Surnames (姓)

Alz [alts] (German) Basudhar (Indian) Boltzmann (Austria) Choleski (Poland or Hungary) Cowper [ku:p ə r] (Scotland) = Cooper or Couper Du Bois [ dü-ˈbȯis ] (French) 나무로부터(의) Han (Chinese or Korean) Hill (English or Scottish) Jones (Welsh or Hebrew) Kelvin (Scotland) Kirpicev (Russia) Lee (English, Irish, Chinese or Korean) Maxwell (Scotland) Mooney (Irish) Rivlin (Denish or Belarus) Siedel (German) Shapiro (Ashkenazi Jewish) Stander (Anglo-Saxon, German) Symonds [s ɪm ənz ] =Simmons Svedin [ sve ɪ d ɪ n ] (Swedish) Tarver (English) Ugine (French) Voigt [v ɔɪt ] (German) Zhao (Chinese)

단어 (Vocabulary) (c)

classifier n. 분류자 comparison n. (~와) 비교함 complement n. 보완물 compose t. 구성하다. concierge [ k ɔː n ˈ sjerz ] n. [美](호텔의) 안내원 conjugate a. <數> 켤레의 crossplot n. 두 개 이상의 변수를 시각화 하는 그래프

단어 (Vocabulary) (t)

temper t. <專> (쇠를) 담금질하다.  triple n. 세 쌍 truncation n. <컴> 끊음

단어 (Wort)

Abgabe f. 발산 B öhler n. 공구강 및 특수 단조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오스트리아 회사 Ofen f. 화덕 Platine f. [工] (금속)송판(床板) Radiation f. 방사 Raum m. 방 Temperatur f. 온도 Umgebung f. 주위환경 Wäme f. 따뜻함 >  Wämeabgabe f. 열의 발상

미분계수의 기하학적인 의미

이미지
함수  \(f\)의 방정식 \(y=f(x)\)로 정의되는 곡선을 \(\gamma\)라고 하자. 미분가능 한 구간  내의 두 점 \(a,\,a+h\)를 잡고, \({\rm A}(a),\,{\rm A'}(a+h)\)라하여 \(\rm A\)와 \(\rm A'\)에서 \(x\)축에 수선(垂線)을 그어 \(\gamma\)와의 교점을 각각 \(\rm P,\,Q\)라 한다. 또한 \(\rm P\)를 지나 \(x\)축에 평행한 직선이 \(\rm A'Q\)와 만나는 점을 \(\rm R\)이라 하면 \[{\rm A'R=AP}=f(a),\,{\rm A'Q}=f(a+h),\,{\rm PR=AA'}=h\] 이다. 직선 \(\rm PQ\)와 \(x\)축의 양의 방향과의 교각을 \(\theta\)라 하면 직선 \(\rm PQ\)의 기울기는 \[\tan\theta=\frac{\rm RQ}{\rm PR}=\frac{\rm A'Q-A'R}{\rm PR}=\frac{f(a+h)-f(a)}{h}\] 이다. 곡선 \(\gamma\)를 따라 점 \(\rm Q\)가 \(\rm P\)에 한없이 \(0\)에 가까와 지고, \(|h|=\rm PR\le PQ\) 이므로 \[\lim_{\rm P\to Q}\overline{\rm PQ}=\lim_{h\to0}h=0\] 가 되어 \[\lim_{\rm P\to Q}\tan{\theta}=\lim_{h\to0}\frac{f(a+h)-f(a)}{h}=f'(a)\] 이것은 \(\rm PQ\)의 기울기가 \(f'(a)\)에 수렴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rm P\)를 지나 기울기가 \(f'(a)\)인 직선 \(\rm PT\)를 그으면 점 \(\rm Q\)를 곡선 \(\gamma\)를 따라 점 \(\rm P\)에 한없이 접근시킬 때, 할선 \(\rm PQ\)는 정직선 \(\rm PT\)에 한없이 가까와 진다. 이 정직선 \(\rm PT\)를  \(\gamma\)의 점 \(\rm P...

허용응력과 허용하중 (ALLOWABLE STRESSES AND ALLOWABLE LOADS)

이미지
공학설계 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하도록 설계된 물체의 용량이다. 하중을 견디는 물체는 건물구조, 기계, 항공기, 차량, 선박 및 그 밖에 인류가 만든 수많은 것들을 포함한다. 단순화하여 이러한  모든 물체들은 구조물(structures) 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구조물이란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해야 하는 어떤 물체를 말한다. 구조적 파손을 피하려고 한다면 구조물이 실제로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작동 중 요구되는 하중보다 커야만 한다. 하중에 저항하는 구조물의 능력을 강도(strength) 라 부른다면, 앞의 요건은 다음과 같이 다시 말할 수 있다: 구조물의 실제 강도는 요구되는 강도를 초과해야만 한다. 요구강도에 대한 실제강도의 비(比)를 안전율(factor of safety) \(n\)이라 부른다. \[n=\frac{\rm 실제강도}{\rm 요구강도}\] 물론, 파손을 피해야 한다면 안전율은 1.0 보다 커야만 한다. 환경에 따라 안전율은 1.0 보다 약간 큰 값부터 10 정도까지 사용된다. 강도와 파손 모두 많은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설계에 안전율을 포함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파손(failure) 이란 구조물의 파단이나 완전한 붕괴를 의미하거나, 변형이 어떤 한계를 초과하여 구조물이 더 이상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후자의 파손 종류는 실제 붕괴의 원인이 되는 하중보다 휠씬 적은 하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안전율의 결정은 또한 다음 사항들이 고려되야 한다: 구조물의 돌발적인 과부하 확률; 하중의 종류(정하중, 동하중 또는 반복하중)와 얼마나 정확히 알고 있는지; 피로파괴의 가능성; 건설 시 부정확성; 기술의 정도; 재료 물성 산포; 부식이나 환경 영향에 의한 악화; 분석방법의 정확성; 점진적 (충분한 경고) 또는 점진적 (경고 없음) 파손인자; 파손의 결과(미소한 손상 또는 대형 참사); 그리고 이러한 다른 고려 사항들리 있다. 안전율이 너무 낮다면 파손 가능성이 높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