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2의 게시물 표시

다중하중을 받는 기둥의 좌굴 (Buckling of Columns Under Multiple Loads)

이미지
개요 (Introduction) 위의 기둥은 하나가 아닌, 두 하중을 지지한다. 하나는 오일러 좌굴이론 과 같이 기둥 중심과 일치한다. 반면에 두번째는 편심하중 조건으로 옵셋되어 있다. 이 복합하중은 복잡한 역학적 문제를 유발하며 해법은 표준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글에서 그 풀이 과정과 해의 특징을 알아본다. 반력 (Reaction Forces) 첫번째 단계로 기둥의 반력을 결정하기 위해 하중과 모멘트를 합한다. 이를 통해 하단에서 윗 방향으로 수직반력 P+P*, 그리고 편심하중 P*으로 인한 모멘트 P*e에 대항하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횡방향 하중 P*e/L가 양단에 작용한다. 굽힘모멘트 (Bending Moments) 모든 좌굴문제가 그렇듯이, 출발점은 표준 보의 굽힘 미분방정식 이다. \[EIy''=M\] M에 대한 표현은 L* 위와 아래 부분이 각각 상이하다. 따라서, 먼저 L* 위의 기둥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정의하고, 다음으로 아래 부분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정의 한다. 위의 그림은 기둥 상부의 자유물체도(FBD)를 보여준다. 내부힘들은 흑생으로, 외부힘들은 적색으로 표시하였다. 잘라진 면의 모멘트 총합으로부터 아래의 방정식이 유도된다. \[\text{Top}:\ M={P^*e\over L}(L-x)-Py\] 여기서, y는 기둥의 횡방향 처짐이다. Top 라벨은 이것은 L* 위의 구간에만 적용된다는 표시이다. 위의 그림은 기둥 하부의 자유물체도이다. 다시 단면부의 모멘트 총합으로부터 아래 미분방정식을 얻는다. \[\text{Bottom}:\ M=-{P^*e\over L}x-(P+P^*)y\] Bottom 라벨은 이것은 L* 아래 구간에만 적용된다는 표시이다. 지배 미분방정식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 굽힘모멘트 식을 보의 굽힘 미분방정식, EIy''=M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text{Top}:\ EIy&#

편심하중을 받는 기둥의 좌굴 (Buckling of Eccentrically Loaded Columns)

이미지
개요 (Introduction) 고전 기둥 좌굴이론 (classical column buckling theory)과 같이, 편심하중의 기둥 좌굴 또한 독특하고 난해한 주제이다. 주어진 하중에 대하여 처짐과 응력 에 대한 비선형 의존성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P는, 그의 작용점이 기둥으로부터 거리 e 만큼 떨어져 있을 때, 편심(eccentric) 되었다고 한다. 이는 통상 고전이론의 처짐에 기인한 모멘트 외에 추가로 P×e의 굽힘모멘트 를 유발한다. 특이하게도, 편심하중 기둥의 역학은 고전이론보다 단순하게 생각할 수 있다. 요컨데, 고전 기둥좌굴과 달리, 여기서 붕괴(failure)는 실제로 재료의 항복 과 관계가 있다. 사실, 붕괴는 하중이 임계치(critical vector) Pcr에 도달하기 전에 재료의 항복강도 를 초과하는 응력에 의해 항상 발생함을 보일 것이다. 이론해 - 양단 회전 기둥 (Analytical Solutions - Both Ends Pinned) 편심하중 기둥의 좌굴 해석은 고전 오일러 좌굴이론과 동일하게 보의 굽힘 방정식에서 시작한다. \[EIy''=M\] 그러나, 이번에는 M=P(y+e)가 되고, 여기서 P는 압축하중, y는 기둥의 처짐 그리고 e는 기둥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진 거리, 편심량(eccentricity) 이다. 이 식을 위의 미분방정식 M에 대입하면 다음식이 유도된다. \[EIy''+Py=-Pe\] 이 방정식은 다음의 일반해를 갖는다. \[y=A\sin\left(\sqrt{P\over EI}x\right)+B\cos\left(\sqrt{P\over EI}x\right)-e\] 여기서 A와 B는 경계조건으로부터 결정되는 상수이다. 경계조건은 회전양단, x=0 및 x=L에서 y=0 이다. 첫번째 경계조건, x=0 에서 y=0, 으로부터 B=e를 얻는다. 두번째 경계조건(x=L 에서 y=0)과 삼각함수 항등식 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A=e\t

조합하중을 받는 축 (Combined Loadings)

이미지
다음과 같이 외팔 원형 단면보가 비틀림 T와 굽힘모멘트 M을 동시에 받고 있다. 보의 상단 미소요소는 평면응력(plane stress) 상태이며 굽힘모멘트 M에 의한 수직응력 \(\sigma_x\), 비틀림모멘트 T에 의한 전단응력 τ로 나타난다. 굽힘과 비틀림의 조합하중 최대 수직응력은 주응력 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되며 상당굽힘응력(equivalent bending stress)이라고 한다. \[\sigma_e=\sigma_1={1\over2}\sigma_x+{1\over2}\sqrt{\sigma_x^2+4\tau^2}\] 여기서 \(\sigma_x\) 및 τ는 각각 비틀림토오크 T와 굽힘모멘트 M에 의한 비틀림과 굽힘응력이므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igma_x={Mr\over I}={32M\over\pi d^3}\qquad\tau={Tr\over I_p}={16T\over\pi d^3}\] 이제 상당응력에 해당하는 상당모멘트를 구해 본다. 먼저 상당비틀림모멘트(equivalent twisting moment)는 토오크와 전단응력의 관계로부터 \[T_e=\tau_e{I_p\over r}={I_p\over d}\sqrt{\sigma_x^2+4\tau^2}={\pi d^3\over32}\sqrt{\left({32M\over\pi d^3}\right)^2+\left({16T\over\pi d^3}\right)^2}=\sqrt{M^2+T^2}\] 동일한 방법으로 상당굽힘모멘트(equivalent bending moment)를 얻는다. \[M_e=\sigma_e{I\over r}={I\over d}\left(\sigma_x+\sqrt{\sigma_x^2+\tau^2}\right)={1\over2}(M+T_e)={1\over2}\left(M+\sqrt{M^2+T^2}\right)\]

차트 그림에서 데이터 추출하는 방법

이미지
논문이나 문헌에 있는 차트 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오픈 소스 프로그램인 Engage Digitizer를 사용하면 된다. 아래 사용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해 놓았다. 1. 아래 링크로부터 install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Engage Digitizer 다운로드(Window10/64bit) 기타 운영 체제는 아래 사이트를 방문한다. https://github.com/markummitchell/engauge-digitizer/releases 2. 문헌에 있는 차트 그림 파일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논문에 있는 보론강, 22MnB5의 인장커브 곡선이 있다고 하자.   3. 좌표계의 원점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림판을 이용하여 좌표축을 이동시킨다. 4. Engage Digitizer 프로그램을 실행 후 그림 파일을 import 한다. 5. 검사 목록 가이드 마법사가 자동 실행되면 Next를 클릭한 후 곡선의 이름을 입력한다.  6. Next - Finish를 클릭해 마법사를 종료한 후 '축 포인트 도구'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7. 3개의 축 지점을 찍어 좌표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먼저 원점을 커서로 찍고 좌표값 (0, 0)을 입력한 후 승인한다.  8. 같은 방법으로 축좌표 (5, 0), (0, 100)을 작성한다. 이로서 좌표계가 정의되었다. 9. '세그먼트 채우기 도구'를 선택한다. 커브 위로 커서를 이동하면 세그멘트로 인식하는 경우 하이라이트 되고 일정 간격으로 디지털화 한다. 인식되는 세그먼트를 모두 클릭한다. 10. 인식되지 않는 곡선 세그먼트는 '커브 포인트 도구'를 사용하여 디지털화 한다. 11.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export 한다.   12. 데이터는 csv 형식으로 저장되고 엑셀에서 열고 차트를 만들면 아래와 같은 커브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나사의 정의

이미지
기계의 결합요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나사이며 간단히 풀 수 있다. 회전운동과 직선운동과의 상호 변환요소로써 또는 작은 회전모멘트로 축방향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운동용 나사로써 중요한 기계요소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지름 \(d_1\)인 원통에 밑변 \(AC=\pi d_1\)인 직각삼각형 ABC를 감으로 빗변 AB는 원통면에 나선(螺旋, helix)이라는 곡선을 그린다. 이 나선을 따라 원통을 한 바퀴 돌면 \(BC=l\) 만큼 올라간다. 이 \(l\)을 리이드(lead)라 한다. 그림의 나선은 왼쪽으로 돌 때 올라가므로 왼나선(left hand helix)이라 하고, 직각삼각형 ABC를 반대방향으로 감으면 오른나선(right handed helix)이라 한다. 이 때 BC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BCE를 나선에 따라 감으면 BE, CE는 나선면(helix surface or helicoid)를 형성하고 단면이 삼각형 BCE인 띠를 감은 것처럼 된다. 이것을 나사(screw)라 하고, 삼각형 BCE를 나사산(screw thread)이라 한다. 나선의 경사각 ∠BAC=α를 리이드각(lead angle)이라 하며, 1줄 나사에서는 피치각(pitch angle)이라고도 한다. 리이드각 α는 아래 그림과 같이 바깥지름 \(d\), 골지름 \(d_1\), 유효지름 \(d_2\)에 따라 \(\alpha_2,\ \alpha_1,\ \alpha\)가 되고 보통 유효지름의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tan\alpha=l/\pi d_2\)가 성립하고 나사의 작용에 중요한 평균경사각이다. 나사곡선 상으로 3각형, 4각형 등의 여러가지 단면을 가진 띠를 감으면 봉우리와 골 부분이 생긴다. 원통 바깥면에 나사산을 새긴 것을 수나사(external screw thread)라 하고 안쪽면에 새긴 것을 암나사(internal screw thread)라 한다. 그리고 수나사를 새긴 것을 보울트(bolt), 암나사를 새긴 것을 너트(nut)라 하며 서로 짝을 이룬다. 나사산이

보의 응력 (Stresses in Beams)

이미지
곡률 (Curvature) 자유단에 하중 P를 받고 있는 외팔보 AB가 있다. 변형전 직선이었던 보의 축선은 곡선으로 변하는데 이를 처짐곡선 (deflection curve)이라 한다. 본 글에서 보(beam)는 xy면에 대칭으로 간주한다. 모든 하중도 xy면상에 작용하며, 그 결과 처짐도 동일면에서 발생하며, 이면을 굽힘평면 (plane of bending)이라 한다. y방향 처짐량은 문자 v로 표시한다. y축에서 거리 x 위치의 미소구간 dx와 이에 대응하는 처짐곡선 상의 ds를 생각한다. ds 양단에서 수선을 그리고 그 교점 O'은 지지부에서 거리 x인 처짐곡선의 곡률중심 (center of curvature)이 된다. 그 수직 거리는 곡률반경 (radius of curvature) ρ이라고 한다. 또한, 그의 역수는 곡률 (curvature) κ이다. 처짐이 미소하면 ds≒dx 이므로 다음식이 성립한다. \[\rho d\theta=ds=dx\] 따라서 곡률은 다음식과 같다. \[\kappa={1\over\rho}={d\theta\over ds}={d\theta\over dx}\] 이 식을 활용해 변형률 과 응력 을 구하기에 앞서 순수굽힘과 불균일굽힘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순수굽힘 (pure bending)이란 일정한 굽힘모멘트 , 즉 전단력이 '0'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V=dM/dx=0 이므로). 반대로 불균일굽힘 (nonuniform bending)이란 전단력이 존재하는 힘, 즉 보의 축방향을 따라 굽힘모멘트가 변함을 의미한다. 보의 수직변형률 (Normal Strains in Beams) 아래 그림은 우력 \(M_o\)에 의해 순수굽힘 상태에 있는 보의 일부이다. 보의 상하단 사이에 길이가 변하지 않는, 점선 ss로 나타낸 면을 중립면 (neutral surface)이라 한다. 중립면과 임의의 단면과의 교차선을 그 단면의 중립축 (neutral axis)이라 하고 우측 그림에서 z축이 된다. 곡률 중심 O'와

영어표현 (English Expressions) (M)

Make yourself comportable. 편하게 앉으세요. Makpal corporations. How can I help you? 막팔사입니다. 무었을 도와드릴까요?

축하중을 받는 봉(Axially Loaded Members) -변위선도(Displacement Diagrams)

이미지
핀으로 연결된 두개의 축하중을 받는 봉(axially loaded members) 으로 구성된 구조물의 변위를 결정하는 기하학적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사실 이러한 구조물은 트러스(truss) 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트러스의 변위를 구하기 위한 선도를 변위선도(displacement diagram) 라고 한다. 그림 1 Two-bar Truss 이 기하학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수평봉과 경사봉을 가진 트러스를 생각한다. 문제는 수직하중 P로 인한 B점의 변위를 구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먼저 봉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하고, 다음 길이 변화를 구한후에 마지막으로 B점의 변위를 구한다.   그림 2 Forces Equilibrium 봉 AB와 BC의 축하중 \(F_{ab}\)와 \(F_{bc}\)는 그림 2와 같이 B점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 으로부터 구한다. \[F_{ab}=P\cot\theta\qquad F_{bc}=P\csc\theta\] 여기서 \(F_{ab}\)는 인장력, \(F_{bc}\)는 압축력이고, θ는 봉 사이의 각도이다. 각 봉들의 길이 변화는 \[\delta_{ab}=\frac{FL}{EA}=\frac{PL_{ab}\cot\theta}{E_{ab}A_{ab}}\qquad\delta_{bc}=\frac{PL_{bc}\csc\theta}{E_{bc}A_{bc}}\] 연결점 \(\rm B\)의 변위를 구하기 위하여, 먼저 각 봉들을 \(\rm B\)점에서 서로 분리한다. 그 다음 봉 AB는 \(\delta_{ab}\) 만큼 늘어나 끝단이 \(\rm B\)에서 \(\rm B_1\)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그림 3). 그러면 봉 AB를 회전시켜, \(\rm A\)를 중심으로 \(\rm AB_1\) 반경의 원호를 그릴 수 있다. \(\rm B\)점의 변위는 매우 작기 때문에 이 원호는 봉 AB 축에 수직한 직선으로 대체할 수 있다. \(\rm B\)점의 최종 위치는 이 수선, \(\rm B_1B'\) 상의 어느 점이 될

숙어 (Idiom) (g)

 get away with sth : (나쁜 짓을 하고도) 그냥 넘어가다.

영어 표현 (English Expressions) (I)

I'd better leave now, otherwise I will miss my flight. 이제 가봐야 할 것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비행기를 놓칠 거에요. I'd like to get 2 tickets for the next show. 다음 공연 티켓 2장 구매하려고요. I don't know. I guess I passed out! 몰라. 필름이 끊겼나 봐! I don't like scary movies. they really freak me out. 난 무서운 영화를 안 좋아해. 난 진짜 놀랜단 말이야. I don't think I can get all of them done. 다 해낼 수 있을 것 같지 않아. I guess that explains it. 그래서 그랬구나. I had a terrible time on my last trip to Europe. 지난번 유럽 여행은 정말 끔찍했어. I have many things to finish due by the end of this week. 이번 주까지 마쳐야 하는 일이 너무 많아. I have no idea! I may have to think of something quick. 모르겠어! 빨리 해결할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할 것 같아. I can tell. Every time I see you, you are wearing new ones. 그런 것 같아. 볼 때마다 넌 새로운 옷을 입고 있어. I haven't finished the report that is due tomorrow. 내일까지 제출해야 하는 리포트를 끝내지 못했어. I have a great interest in fashion. 난 패션에 관심이 아주 많아. I hope we will see you again soon. 곧 다시 볼 수 있기를 바래요. I'm going to catch up on some households chores. 나는 그 동안 밀린 집안일을

영어 표현 (English Expressions) (A)

Alright. Then what are your goals for the future? 좋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And moreover, I want to utilize my educational background in my next position. 또한, 제 다음 직업에서는 제 전공을 살리고 싶습니다.   And my current company has no opportunities in the direction I'd like to head 그리고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에는 제가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기회가 없습니다. Anytime after 6 is fine with me. 전 6시 이후면 언제든 좋아요. Are tens of thousands of people walking in a hurry. 그리고 바쁘게 다니는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으니까. Are you free on Saturday? 너 토요일에 시간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