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계획법 결과분석의 첫번째 단계는 인자 및 특성치 간 서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그 경향을 알아내는 것이다.산포도(Scatter Plot)은 인자//특성치 분포를 2차원 투영시켜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ej70MyNr0gDpyHuc5TRY4TntHdGwRe8bBbQxqkguLHuhqCQMxgUhhGXiCVliFSVvIAmc9HsK8JptP3QP4wssk-4FgL20Wt34GFoAdCOs3neUydbXhuJMpiykksj969E0re-ONGE0WWC6pX07tkDjGc53xMeFsY_K-kY9Jd9gXb57ntWyFYPA0lip51Q=w640-h300) |
산포도 (Scatter Plot) ① \(x_1\)과 \(x_2\)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② \(x_2\)와 y는 음(negative)의 선형관계에 있다. ③ \(x_1\)과 y는 2차 관계에 있다.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는 두 확률변수의 공분산 크기에 대한 의존도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분산을 두 확률변수의 곱으로 나눈 것이다. \(Corr(X, Y)=\rho_{X,Y}=\dfrac{cov(X,Y)}{\sigma_X\sigma_Y}\) 상관계수는 인자/특성치 간 선형관계를 나타내며 0.6 이상이면 선형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관계수는 선형 상관성만 표현하므로 비선형 관계는 판단할 수 없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oPKE5_VVhAofnZ44EDDAL_N8ONAt2anRatwnEB1j7pYo3DMgPCWtiFgVokfS7iscuHPwfMfDQjd9Hf8AKGFa4KHbgrPe37xogW1OX7qoJPzgV9MW2l2Ca_CayNJeWf_Xv5bKjrKdI00lJaTMuyWHTg5Dl0xpVRNxIWkayg430QG13J81FPy4Esa7iNw=w640-h290) | 상관계수 (Correation Coeficient)
[적용 예] 차종별 시험/해석 간 특성치가 다음과 같을 때 상관계수를 구하고 상관관계를 판단하라.
차종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시험 | 10.50 | 20.00 | 25.25 | 37.11 | 19.00 | 15.48 | 22.00 | 30.32 | 9.10 | 18.00 |
해석 | 12.00 | 22.49 | 21.00 | 29.00 | 18.81 | 15.96 | 25.60 | 31.00 | 12.33 | 15.78 |
엑셀의 CORREL(array1, array2) 함수를 활용하여 상관계수를 구하고 분산형 차트로 가시화한다.
|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