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귀납법 (Mathematical Induction)

명제 P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 P(1)이 성립한다.
● n∈N(자연수 전체의 집합)에 대하여 P(n)이 성립하면, P(n+1) 역시 성립한다.

그러면 모든 n∈N에 대하여 P(n)이 성립한다. 이 공리(公理)를 수학적 귀납법이라 한다.

[예제 1] 자연수의 합의 공식
1+2+3++n=n(n+1)2
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n에 대하여 성립한다면 1+2+3++n=n(n+1)2 이다.
n=1에 대하여 1=(1)(1+1)2=1 이므로 자명하게 성립한다.
양변에 n+1을 더하면 1+2+3++n+(n+1)=n2+3n+22=(n+1)(n+2)2
이므로 역시 성립한다.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임의의 n∈N에 대하여도 성립한다.

[예제 2] k≥2인 자연수 k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 k!2k1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k=2 일 때 2!=21 이므로 명백히 성립한다.
k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1)!=k!(k+1)2k1(k+1)>2k 이므로 역시 성립한다.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k≥2인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하여도 성립한다.

[예제 3] 자연수의 제곱합의 공식
12+22+32++n2=n(n+1)(2n+1)6
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n=1 에 대하여 12=(1)(1+1)(21+1)6=1 이므로 자명하게 성립한다.
n에 대하여 성립한다면 12+22+32++n2=n(n+1)(2n+1)6 이다.
양변에 (n+1)2을 더하면
12+22+32++n2+(n+1)2=n(n+1)(2n+1)6+(n+1)2=(n+1)(n+2)(2n+3)2로 역시 성립한다.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임의의 n∈N에 대하여도 성립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단응력 (Shear Stress)

절대압력과 계기압력

엑셀 상자그림(Box Plot) 그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