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하중을 받는 봉(Axially Loaded Members) -변위선도(Displacement Diagrams)

핀으로 연결된 두개의 축하중을 받는 봉(axially loaded members)으로 구성된 구조물의 변위를 결정하는 기하학적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사실 이러한 구조물은 트러스(truss)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트러스의 변위를 구하기 위한 선도를 변위선도(displacement diagram)라고 한다.
그림 1 Two-bar Truss

이 기하학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수평봉과 경사봉을 가진 트러스를 생각한다. 문제는 수직하중 P로 인한 B점의 변위를 구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먼저 봉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하고, 다음 길이 변화를 구한후에 마지막으로 B점의 변위를 구한다. 

그림 2 Forces Equilibrium

봉 AB와 BC의 축하중 \(F_{ab}\)와 \(F_{bc}\)는 그림 2와 같이 B점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으로부터 구한다.

\[F_{ab}=P\cot\theta\qquad F_{bc}=P\csc\theta\]

여기서 \(F_{ab}\)는 인장력, \(F_{bc}\)는 압축력이고, θ는 봉 사이의 각도이다. 각 봉들의 길이 변화는

\[\delta_{ab}=\frac{FL}{EA}=\frac{PL_{ab}\cot\theta}{E_{ab}A_{ab}}\qquad\delta_{bc}=\frac{PL_{bc}\csc\theta}{E_{bc}A_{bc}}\]

연결점 \(\rm B\)의 변위를 구하기 위하여, 먼저 각 봉들을 \(\rm B\)점에서 서로 분리한다. 그 다음 봉 AB는 \(\delta_{ab}\) 만큼 늘어나 끝단이 \(\rm B\)에서 \(\rm B_1\)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그림 3). 그러면 봉 AB를 회전시켜, \(\rm A\)를 중심으로 \(\rm AB_1\) 반경의 원호를 그릴 수 있다. \(\rm B\)점의 변위는 매우 작기 때문에 이 원호는 봉 AB 축에 수직한 직선으로 대체할 수 있다. \(\rm B\)점의 최종 위치는 이 수선, \(\rm B_1B'\) 상의 어느 점이 될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봉 BC는 \(\delta_{bc}\) 만큼 수축하고, 끝단은 \(\rm B\)에서 \(\rm B_2\)로 이동한다. 그 다음 봉 BC는 \(\rm C\)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rm CB_2\)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그릴 수 있다. 이 원호는 BC에 수직한 직선으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rm B\)점의 최종 위치는 이 직선의 어딘가가 될 것이다. 따라서 최종 \(\rm B\)점의 위치는 두 수직선의 교점이 된다. 이 점은 그림 3에서 \(\rm B'\)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벡터 BB'는 점 \(\rm B\)의 변위 \(\delta_b\)를 나타낸다.

그림 3 Displacement Diagram

변위 \(\delta_b\)는 그림 3의 변위선도로부터 기하학적으로 구할 수 있다. 선 \(\rm BB'\)은 늘음량 \(\delta_{ab}\)를 나타내고 \(\rm BB_2\)는 수축량 \(\delta_{bc}\)를 나타낸다. 수선들은 \(\rm B_1B'\)과 \(\rm B_2B'\) 이며, \(\rm B'\)에서 교차한다. 이 선들은 AB와 BC에 각각 수직하므로 이들 사이의 각도는 θ와 동일하다. 이 변위선도로부터 \(\rm B\)점의 변위 \(\delta_b\)와 그 수평 및 수직 성분도 구할 수 있다. 수평 성분 \(\delta_h\)는 \(\delta_{ab}\)와 같으며 정확히 오른쪽으로 향한다.

\[\delta_h=\delta_{bc}=\frac{PL_{bc}\csc\theta}{E_{bc}A_{bc}}\]

수직 성분 \(\delta_v\)는 아래로 향하며 선 \(\rm B_1B'\)에 해당한다. 따라서, 삼각함수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begin{align}\delta_v&=B_1B'=\delta_{bc}\sin\theta+(\delta_{bc}\cos\theta+\delta_{ab})\cot\theta\\&=\delta_{bc}\csc\theta+\delta_{ab}\cot\theta\end{align}\]

이제 점 B의 수평과 수직 성분이 구해졌으므로 변위 \(\delta_b\)는 성분들의 제곱합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은 임의로 배치된 2개의 봉의 트러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선도는 1877년 이 방법을 제안한 프랑스의 공학자 J. V. Willot의 이름을 따라 윌리엇 선도(Williot diagram)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방법은 위에서 다룬 매우 간단한 구조에만 유용하므로 보다 큰 구조에 대해서는 단위하중 기법(unit-load method) 같은 일반적인 해석적 기법이 요구된다.

[예제]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은 대칭 트러스의 연결점 B의 변위 계산식을 구하여라. 단, 봉들은 단면적 A 및 탄성계수 E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풀이> 먼저 봉의 인장력 F를 B점의 힘의 평형으로부터 결정한다(위의 가운데 그림).

\[P=2F\cos\beta\qquad F={P\over2\cos\beta}\]

다음으로 각 봉의 길이 L=H/cosβ 이므로 늘음량 \(\delta_1\)을 구할 수 있다.

\[\delta_1={FL\over EA}={PH\over2EA\cos^2\beta}\]

최종적으로 변위선도를 그린다(위의 오른쪽 그림). 봉들이 분리되었다고 가정하면 봉 AB는 B점에서 \(B_1\)으로 늘었을 것이다. \(B_1\)을 지나고 \(BB_1\)에 수직인 직선은 B점의 최종 변위점을 지나야 한다. 트러스와 하중은 대칭이므로 B점의 수평 방향 변위는 없다. 따라서, B점은 \(B_1\)으로부터의 수선이 B점을 지나는 수직선과 교차하는 B'점으로 변위해야만 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왼쪽 선도도 얻을 수 있다.

연결점 B의 수직 변위 \(\delta_b\)는 변위선도의 삼각법으로부터 구한다.

\[\delta_b={\delta_1\over\cos\beta}={PH\over2EA\cos^3\beta}\]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단응력 (Shear Stress)

절대압력과 계기압력

표면장력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