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의 유계성ㆍ단조성과 극한

수열 {an}이 극한값 a를 가질 때 a에 수렴한다고 하고 {an}수렴수열이라 한다. 수열이 극한값을 갖지 않을 때 발산한다고 하고 {an}발산수열이라 한다.

[예제 1] an=(1)n+12n으로 정의된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여라.

<풀이>
n이 홀수면 an=1+12n
n이 짝수면 an=   1+12n
따라서 n→∞ 일 때 짝수번째 항은 1에 근접하고 홀수번째 항은 -1에 근접한다. 요컨데 ε=0.5를 택하면 어떠한 자연수 N을 택해도 N번째 이후 항 an에 대하여 |ana|<ϵ으로 되는 a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an}은 수렴하지 않는다.

위의 예제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14=54
수열 {an}이 모든 n에 대하여 |an|A(양수) 일 때 유계라고 한다. 예제 1의 수열은 A=5/4 이므로 유계이다.
항의 수가 유한(N항) 일 때는 |a1|,|a2|,,|aN| 중에서 최대인 것은 A라 하면 |aN|A,n=1,2,,N 이므로 유한수열은 유계이다.
무한수열이 유계가 아닐 때는 n→∞ 일 때 |an|로 나타낸다. 특히
an>0 이고 |an| 일 때에는 anan<0 이고 |an| 일 때에는 an
로 쓰고 각각 양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한다.

정리 1   수렴수열은 유계이다.

<증명> limnan=a라고 하자. ε=1에 대하여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N 이면 |ana|<1. 곧, a1<an<a+1 |an|<|a|+1(nN)

이제 |a1|,|a2|,,|aN1|,|a|+1 중에서 최대인 것을 A라고 하면 모든 n에 대하여 |an|A 이다.

∴ 수열 {an}은 유계이다.
[주의] 예제 1에 의하여 이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정리 2   수열 {an}이 수렴하면 그 극한값은 유일하다.

<증명> limnan=a,limnan=b,ab라고 가정하자.
수열 {an}이 a, b에서 수렴하므로 ϵ=|ab|2>0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두 자연수 N1,N2가 존재한다.
nN1 이면 |ana|<ϵnN2 이면 |anb|<ϵ
이제 N1,N2 중에서 최대인 것을 N이라 하면 n≥N 인 자연수 n은 위의 두 부등식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ab|=|aan+anb||aan|+|anb|<2ϵ=|ab|
로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a=b 이어야 한다. 곧 극한값은 단 한개뿐이다.

정리 1, 2의 대우는 수열의 발산조건이다. 수열 {an}은 다음 경우에 발산한다.
(1) 임의의 양수 A에 대하여 |an|>A를 만족하는 an이 존재한다.
(2) 무한히 많은 점이 밀집되어 있는 장소가 2개 이상이다. 이 경우 수열은 진동한다고 한다.

공집합이 아닌 실수 집합 S의 임의의 원 x에 대하여 x≤M을 만족하는 실수 M이 존재하면 S는 위로 유계라 하고 M을 집합 S의 상계라 한다. M이 S의 상계이면 M 보다 큰 실수는 S의 상계이다. 또한, S의 임의의 원 x에 대하여 L≤x를 만족하는 실수 L이 존재하면 S는 아래로 유계라 하고 L을 집합 S의 하계라 한다. L이 S의 하계이면 L 보다 작은 실수는 S의 하계이다.

위로도 아래로도 유계이면 그 집합은 유계라 한다.

[예제 2] an=2n+5n+2로 정의된 수열 {an}은 유계이다.

<풀이> an=2+1n+2 이다.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0<1n+2<1 이므로 2<2+1n+2<3
따라서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2<{an}<3 이므로 {an}은 유계이다.

공집합이 아닌 실수의 집합 S가 위로 유계일 때 S의 임의의 상계를 M'라 하면 M≤M'인 상계 M을 S의 상한이라 하고 기호로

M=sup(S)
로 나타낸다.

또한, S가 아래로 유계일 때 S의 임의의 하계를 L'라 하면 L'≤L인 하계 L을 S의 하한이라 하고 기호로
L=inf(S)
로 나타낸다.

[예제 3] an=2n+1n+3로 정의된 수열 {an}에서 sup{an}inf{an}을 구하여라.

<풀이> an=25n+3<2. 또한 5n+3>0,limn5n+3<2 이므로 an은 작은 쪽에서 2에 가까이 간다. 따라서 ε>0에 대하여 A=2-ε 이면 n>5ϵ3을 만족하는 자연수 n을 택하면
anA=ϵ5n+3>0
이다.

따라서 2 이상의 수는 {an}의 상계이므로 M=sup{an}=2.
또한 a1<a2<<an< 이므로 a1 이하의 수는 {an}의 하계이다.  L=inf{an}=a1=34

수열 {an}에서 모든 n에 대하여 anan+1이면 {an}단조증가라 하고, 모든 n에 대하여 anan+1이면 단조감소라 한다. 단조등가 또는 단조감소인 수열을 단조라 한다.

[예제 4] 수열 {an}a1=1 이고 n≥2 일 때
an=an1+1(n1)!=1+11!+12!+13!++1(n1)!
이다. {an}은 단조증가이고 유계임을 보여라.

<풀이> n≥2 일 때 an=an1+1(n1)!>an1 이므로 {an}은 단조증가이다. 또한
an=1+11!+12!+13!++1(n1)!1+120+121+122++12n2=1+1(12)n1112=312n2<3
따라서 1an<3 이므로 {an}은 유계이다.

위의 예제에서 등비수열의 합은 링크를 참조한다.

《문     제》

1. 수열 {an}이 단조증가이면 아래로 유계이고, 단조감소이면 위로 유계임을 보여라.

<풀이> 수열 {an}이 단조증가이면 모든 n에 대하여 anan+1 이므로 a1a2a3an 이다.
따라서 모든 n에 대하여 a1an 이다. 곧, 수열 {an}은 아래로 유계이다.
단조감소일 때도 같은 방법으로 모든 n에 대하여 anan+1 이므로 a1a2a3an 이다.
따라서 모든 n에 대하여 a1an 이다. 곧, 수열 an은 위로 유계이다.

2. 수열 {an}이 단조증가이고, 단조감소이면 {an}은 상수수열 (a1=a2=a3==an=)임을 보여라.

<풀이> 수열 {an}이 단조증가이고 단조감소이므로 anan+1 이고 anan+1 이다.
따라서 동시에 두 조건을 만족하려면 an=an+1 이어야 한다. 곧, 수열 {an}은 상수수열이다.

3. an이 다음 각 식으로 정의된 수열 {an}의 유계성을 조사하여라.
(1) an=2n+3n+1(2) an=3n2+n+1n2(3) an=rn

<풀이>
(1) an=2+1n+1 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0<1n+1<1 이다.
따라서 2<2+1n+1=an<3 이므로 유계이다.
(2) an=3+1n+1n2 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0<1n+1n22 이므로 \(3<a_n
le5\) 이다. 따라서 유계이다.
(3) |r|≤1 일 때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rn|=|an|1 이므로 유계이다.
      |r|>1 일 때 limnrn=limnan=± 이므로 발산한다. 따라서 유계가 아니다.

4. 수열 {an},{bn}이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an=112+123+134++1n(n+1)bn=122+132+142++1(n+1)2
수열 {an},{bn}은 유계임을 증명하여라.

<풀이>
an=an1+1n(n+1)>an1 이므로 단조증가이다. 또한
an=112+123+134++1n(n+1)112+1122+11222++112n
    =12{1(12)n}112=112n<1 이다. 따라서 12an<1 이므로 수열 {an}은 유계이다.
bn=bn1+1(n+1)2>bn1 이므로 단조증가이다. 또한
bn=122+132+142++1(n+1)2<112+123+134++1n(n+1)<1 이므로 14bn<1 이다. 따라서 수열 {bn}은 유계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단응력 (Shear Stress)

절대압력과 계기압력

엑셀 상자그림(Box Plot) 그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