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함수의 성질

연속함수의 성질을 조사하기 전에 함수에 관한 일반적인 정의를 살펴본다. 여기서의 함수는 실함수를 의미한다.

정의 1. (유계인 함수) 함수 f의 정의역을 Df, 치역을 Rf라 할 때 집합 Rf유계이면 함수 f는 유계(有界)라 한다. 이것은 Df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f(x)|≤M

인 양수 M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예제 1] 다음 함수의 유계성을 조사하여라.

(1) f(x)=x2,Df=(,)(2) f(x)=x2,Df=(0,a),(a>0)(3) f(x)=1x,Df=(0,a),(a>0)(4) f(x)=1x,Df=[12,3]

<풀이>
(1) Rf=[0,). ∴ 유계가 아니다.
(2) f는 Df=(0,a)에서 단조증가이므로 Df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f(0)<f(x)<f(a). ∴ 유계이다.
(3) f는 Df=(0,a)에서 단조감소이므로 Df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f(x)>f(a). 그런데 x→0  일 때 f(x)→∞ 이므로 Rf=(1/a,)∴ 유계가 아니다.
(4) Rf=(1/3,2)∴ 유계가 아니다.

정의 2. (함수의 최대값ㆍ최소값) 함수 f의 정의역을 Df, 치역을 Rf라 한다. Df 내의 임의의 x에 대하여
f(x)≤f(a)
인 점 a가 Df 내에 존재하면 f(a)=M을 f의 최대값이라 한다.
또, Df 내의 임의의 x에 대하여
f(x)≥f(b)
인 점 b가 Df 내에 존재하면 f(b)=m을 f의 최소값이라 한다.

함수 f의 치역을 Rf라 할 때 그 상한 sup(Rf)supxDff(x), 하한 inf(Rf)infxDff(x)로 나타낸다. 이제 연속함수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리에 대해서 알아본다.

정리 1. 폐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는 유계이다.

정리 2. 폐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를 f라 하면 f의 최대값, 최소값이 존재한다. 곧, 구간내의 임의의 x에 대하여
f(x0)f(x)f(x1)
x0,x1이 구간 [a, b]내에 존재한다.

<증명> inf f(x)=m 이라 하면 [a, b]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m≤f(x) 이고 f(x0)=m 이다. 이제 x0이 [a, b] 내에 속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 때 [a, b]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f(x)>m 이므로

g(x)=1f(x)m

로 정의된 함수 g는 [a, b]에서 연속이다. 정리 1에 의하여 g는 유계이다. 따라서 a≤xb 일 때 0<g(x)<k인 양수 k가 존재한다. 곧,

m+1k<f(x)

이것은 m+1k가 하계임을 뜻하므로 m=infx[a,b]f(x)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f(x0)=mx0[a,b]이 존재한다.

같은 방법으로 supx[a,b]f(x)=M이라 하면 f(x1)=Mx1[a,b]이 존재함을 증명할 수 있다.

정리 3. (중간값 정리) 폐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를 f라 할 때 f(a)f(b)<0 이면 f(x0)=0x0이 구간 (a, b)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증명> f(a)<0, f(b)>0 인 경우에 대하여 증명해 본다.
A={x|x∈[a, b], f(x)<0} 이라 하면 실수의 완비성에 의하여 A의 상한 supA=x0(b)이 존재한다. 이 x_0에 대하여 다음 세 경우를 생각할 수 있고 여기서 (1), (3)은 일어날 수 없음을 증명한다.
(1) f(x0)<0(2) f(x0)=0(3) f(x0)>0
만약 (1)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f는 x0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ϵ0=min{12f(x0),12f(b)}라 하면
|xx0|<δ0 이고 axb 이면 |f(x)f(x0)|<ϵ0
을 만족하는 양수 δ0이 존재한다. 이 때 x0<x<x0+δ0인 x에 대하여
f(x)<f(x0)+ϵ0f(x0)12f(x0)=12f(x0)<0
이므로 x0<x<x0+δ0을 만족하는 x는 A에 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것은 x0이 A의 상한이라는 사실에 모순이므로 일어날 수 없다.

또한 (3)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ϵ1=12f(x0)이라 하면 f는 x0에서 연속이므로

|xx0|<δ1 이고 axb 이면 |f(x)f(x0)|<ϵ1

을 만족하는 양수 δ1이 존재한다. 이 때 x0δ1<x<x0인 x에 대하여

f(x)>f(x0)ϵ1=f(x0)12f(x0)=12f(x0)>0

그런데 x0는 A의 상한이므로 x0<xb 일 때 f(x)≥0. 따라서 x0δ1<x<x0 일 때 f(x)≥0. 곧, x는 A에 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x0이 A의 상한이라는 사실에 모순이므로 일어날 수 없다.

위의 결과로부터 (2)의 경우만 일어날 수 있다.

   폐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를 g라 할 때
g(a)<k<g(b) 또는 g(a)>k>g(b)
인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g(x0)=k
를 만족하는 x0이 구간 (a, b) 내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예제 2] n은 양의 정수, c>0 일 때 방정식 xn=c는 단 한개의 양근을 가짐을 증명하여라.

<증명> f(x)=xn 이라 두면 f는 x≥0 에서 연속이고 f(0)=0. 이항정리에 의하여

f(c+1)=(1+c)n=1+nc+n(n1)2c2+1+nc1+c>c

이므로 f(0)<c<f(c+1). 따라서 정리 3의 계에 의하여 f(x0)=xn=cx0이 구간 (0, c+1)내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한편 x>0 일 때 f(x)=xn은 강한 의미의 증가함수이므로 f(x)=c의 양근은 단 한 개이다.

[예제 3] -1<c<1 일 때 구간 [π2,3π2]에서 sin x=c를 만족하는 x는 단 한 개 존재함을 증명하여라.

<증명> f(x)=sin x 라 하면 f(π2)=1, f(3π2)에서 f는 연속이므로 정리 3의 계에 의하여 f(x0)=sinx0=cx0이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또한, f는 이 구간에서 단조감소이므로 x0는 단 한 개이다.

[예제 4] 연속함수 f의 정의역 Df가 폐구간이면 그 치역 Rf도 폐구간이다. 곧, Df=[a,b] 이면 Rf=[m,M]. 단, m=infx[a,b]f(x),M=supx[a,b]f(x)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f는 폐구간 [a,b]에서 연속이므로 가정과 정리 2에 의하여

최소값 m=infx[a,b]f(x)=f(x0),x0[a,b]최대값 M=supx[a,b]f(x)=f(x1),x1[a,b]

이 존재한다. 따라서 x∈[a,b] 일 때 항상 m≤f(x)M. 곧, Rf[m,M](1)

역으로 y∈[m,M] 일 때 중간값 정리에 의하여 f(x)=y, x∈[a,b]인 점 x가 존재하므로 yRf 곧, [m,M]Rf(2)

(1), (2)에서 Rf=[m,M].

《문     제》

1. 다음 각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a) 치역     (b) 최대값     (c) 최소값
을 구하여라.
(1) f(x)=xx2,1x1(2) f(x)=x+|x|,1x1(3) f(x)=|x24|,2x1(4) f(x)=2+sinx,0x2π(5) f(x)=sinx+cosx,0xπ(6) f(x)=x+1x,14|x|2,x0

<풀이>
(1) (a) [-2, 1/4] (b) 1/4 (c) -2, (2) (a) [0, 2] (b) 2 (c) 0, (3) (a) [-2, 4] (b) 4 (c) 0


(4) (a) [1, 3] (b) 3 (c) 1, (5) (a) [-1, √2] (b) √2 (c) -1, (6) [-17/4, -2]∪[2, 17/4] (b) 17/4 (c) -17/4

2. 정리 2의 증명에서
supx[a,b]f(x)=M 이라 하면 f(x1)=M  x1[a,b]가 존재한다.
를 증명하여라.

<증명> 가정에 의해 [a, b]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M≥f(x) 이다. x1이 [a, b] 내에 속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 때 f(x)<M 이므로

g(x)=1f(x)M

로 정의된 함수 g는 [a, b]에서 연속이다. 정리 1에 의하여 g는 유계이다. 따라서 a≤xb 일 때 -k<g(x)<0 인 양수 k가 존재한다. 곧,

1k<1g(x)=f(x)M

따라서 구간 [a, b]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M1k<f(x)

이것은 M-1/k가 한 상계임을 뜻하므로 가정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f(x1)=Mx1[a,b]이 존재한다.

3. 정리 3의 증명에서 「f(a)>0, f(b)<0」인 경우를 증명하여라.

<증명> A={x|x∈[a, b], f(x)>0} 이라 하면 실수의 완비성에 의하여 A의 상한 supA=x0(b)이 존재한다. 이 x0에 대하여 다음 세 경우를 생각할 수 있고, 여기서 (1), (3)은 일어날 수 없음을 증명한다.

(1) f(x0)<0(2) f(x0)=0(3) f(x0)>0

만약 (1)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f는 x0에서 연속이므로 ϵ0=12f(x0) 이라 하면
|xx0|<δ0 이고 axb 이면 |f(x)f(x0)|<ϵ0
을 만족하는 양수 δ0이 존재한다. 이 때 x0δ0<x<x0인 x에 대하여
f(x)>f(x0)ϵ0=f(x0)+12f(x0)=32f(x0)(<0)
그런데 x0δ0<x<x0를 만족하는 x는 A에 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것은 32f(x0)<f(x)0 일 때 x가 A에 속하지 않아 모순이므로 일어날 수 없다.

또한 (3)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ϵ1=12f(x0)이라 하면 f는 x0에서 연속이므로
|xx0|<δ1 이고 axb 이면 |f(x)f(x0)|<ϵ1
을 만족하는 양수 δ1이 존재한다. 이 때 x0<x<x0+δ1인 x에 대하여
f(x)<f(x0)+ϵ1=f(x0)+12f(x0)=32f(x0)(>0)
그런데 x0는 A의 상한이므로 x0<xb 일 때 f(x)≤0. 따라서 x0<x<x0+δ1 이고 0f(x)<32f(x0) 일 때 x는 A에 속하지 않아 모순이므로 일어날 수 없다. 위의 결과로부터 (2)의 경우만 일어날 수 있다.

4. 정리 3의 증명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1) a와 b의 중점 a+b2를 택ㅎ한다. f(a+b2)=0 일 때에는 x0=a+b2라 한다.
(2) f(a+b2)f(a)<0 이면 a+b2=b1로 하여 [a,b1]에서 생각한다.
     f(a+b2)f(b)<0 이면 a+b2=a1로 하여 [a1,b]에서 생각한다.
이들의 구간은 어느 경우에나 [a1,b1]로 쓰기로 한다. 이 때
a1<b1,b1a1=12(ba)
(3) [a1,b1]에서 (2)와 같은 시행을 조작하여 새로이 만든 구간을 [a2,b2]로 쓴다. 이 때
aa1a2,b2b1ba2<b2,b2a2=12(b1a1)=(12)2(ba)
(4) 이와 같은 시행을 계속하여 구간의 양끝을 나타낸는 수열
a,a1,a2,,an  b,b1,b2,,bn,
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aa1a2anbnb2b1ban<bn,bnan=(12)n(ba)
여기서 다음을 증명하여라.
(a) limnan이 존재한다.(b) limnbn이 존재한다.(c) limnan=limnbn(d) limnan=x0 이라 하면 f(x0)=0

<증명>
(a) 수열 {an}aanb 이므로 유계이다. 또한 an+1an 이므로 단조증가이다. 따라서 수열 {an}은 수렴한다.
(b) 수열 {bn}abnb 이므로 유계이다. 또한 bn+1bn 이므로 단조증가이다. 따라서 수열 {bn}은 수렴한다.
(c) limn(bnan)=limnbnlimnan=limn(12)n(ba)=0.  limnan=limnbn
(d) f(a)<0, f(b)>0 이면 f(an)<f(x0)<f(bn)이다.
     n→∞ 일 때 an,bnx0 이고 f(an)<0,f(bn)>0 이므로 f(x0)=0.
     f(a)>0, f(b)<0 이면 f(an)>f(x0)>f(bn)이다.
     n→∞ 일 때 an,bnx0 이고 f(an)>0,f(bn)<0 이므로 f(x0)=0.

5. 함수 f가 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a, b]에서 최대값을 가지므로 그것을 f로 나타내기로 한다. f, g는 [a, b]에서 연속함수, k는 임의의 실수라 할 때 다음 (1), (2), (3)이 성립함을 보여라.
(1) ∥kf∥=|k|∥f
(2) ∥f∥=0 인 것은 [a, b] 내의 모든 x에 대하여 f(x)=0 일 때 뿐이다.
(3) ∥f+g∥≤∥f∥+∥g
(4) ∥fg∥=∥f∥g

<증명>
(1) |kf(x)|=|k||f(x)|≤|k|∥f∥=∥kf
(2) 0≤|f(x)|≤∥f∥=0 이기 위해서는 f(x)=0
(3) |f(x)+g(x)|∥f+g≤|f(x)|+|g(x)|∥f∥+∥g
(4) |f(x)g(x)|=|f(x)||g(x)|∥fg∥=∥f∥g

6. f가 연속함수이고, 어떤 점 x0에 대하여 f(x0)0 이면 x0의 적당한 근방 (x0δ,x0+δ)에서 f(x)f(x0)의 부호가 같도록 양수 δ를 정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라.

<증명>
f(x0)>0인 경우 ϵ0=f(x0)2라 하면 (x0δ0,x0+δ0)내의 x에 대하여 |f(x)f(x0)|<ϵ0을 만족하는 δ0가 존재한다. 즉, f(x0)ϵ0<f(x)<f(x0)+ϵ0 이므로 0<f(x0)2<f(x)<3f(x0)2.
f(x0)<0인 경우 ϵ1=f(x0)2라 하면 (x0δ1,x0+δ1)내의 x에 대하여 |f(x)f(x0)|<ϵ1을 만족하는 δ1가 존재한다. 즉, f(x0)ϵ1<f(x)<f(x0)+ϵ1 이므로 3f(x0)2<f(x)<f(x0)2<0.
위의 결과로부터 f(x)f(x0)의 부호가 같도록 양수 δ를 정할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단응력 (Shear Stress)

절대압력과 계기압력

엑셀 상자그림(Box Plot) 그리기